하나은행 이체 지문인식으로 설정하기(지문이체, 빠른이체)
하나은행 앱으로 이체를 잘 사용하고 있었고 이번에 핸드폰을 홍미노트9s로 변경했습니다.
폰을 변경하면 가장 귀찮은 것이 은행 앱 들어가서 공인인증서 등록하고 지문등록하고 등등 너무 힘든 작업인 듯합니다.
하루 쉬는 날 이런 귀찮은 작업을 모두 진행 후 하나은행 앱 지문인식으로 로그인 후 이체를 시도했습니다.
그런데....
OTP 인증 번호를 넣으라고 나오네요. ㅠㅠ
왜 그럴까요? 너무 당황하지 마세요. 이제 그 해결 방법을 알려 드립니다.
잘 사용하던 지문인식 이체가 갑자기 안 되나요? 이체할 때마다 OTP 인증번호를 물어보나요?
그 이유와 그 해결 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.
하나은행 상담원과 통화 후 해결한 방법이라 팩트체크는 된 정보입니다.
왜 이체가 지문으로 안되나?
이체할 때 지문인식이 안되었던 이유는 핸드폰을 변경했기 때문이었습니다.
하나은행에는 "빠른 이체" 라는 서비스가 있습니다.
그런데 빠른이체 등록 후 핸드폰이 변경되면 다시 등록을 해야만 서비스를 다시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나은행 빠른 이체란?
1회 300만 원 이내 이체 시 계좌 비밀번호 입력만으로 간편하게 이체 할 수 있는 서비스로 계좌비밀번호 대신 지문인식으로 설정하면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나은행 빠른이체 등록하기
1) 앱 실행 후 우측 하단의 빨래판 모양의 전체 메뉴를 클릭
2) My하나 >> 빠른 이체신청
3) 빠른 이체 서비스에 대한 설명이 읽은 후 서비스 신청에 동의 하기
4) 빠른 이체 서비스를 신청할 출금계좌 선택하기
5) ARS 인증 하기
6) 신청 완료
하나은행 빠른이체 주의사항
- 빠른이체 서비스는 1회 300만 원까지만 가능
- 1인 1대의 핸드폰에만 가능
- 앱 삭제 시 재가입해야 함
- 문의전화: 1599-1111
마무리
문제는 핸드폰을 새롭게 변경 후 하나은행 앱을 새롭게 설치해서 빠른 이체를 재가입해야 하는 상황이었습니다.
재가입 후 이체 테스트를 해보니 지문인식만으로 이체가 잘 되었습니다.
친절한 상담원 때문에 궁금했던 부분이 해결되었습니다. 감사합니다.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이폰 자료 옮기기 - 초간단 방법 (1) | 2020.09.06 |
---|---|
국민건강보험료 카드납부 방법(4대 사회보험료 납부방법) (2) | 2020.08.29 |
이마트 휴무일 영업시간(이마트 오픈시간 마감시간) 아세요? (0) | 2020.08.27 |
버거킹 모바일쿠폰 매장에서 주문하는 방법 (0) | 2020.08.22 |
빕스, 애슐리 8월 17일 임시공휴일 런치가격? (0) | 2020.08.15 |
댓글 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