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하나은행 이체 지문인식으로 설정하기(지문이체, 빠른이체)

(_.._) 발행일 : 2020-08-21
반응형

하나은행 앱으로 이체를 잘 사용하고 있었고 이번에 핸드폰을 홍미노트9s로 변경했습니다.

폰을 변경하면 가장 귀찮은 것이 은행 앱 들어가서 공인인증서 등록하고 지문등록하고 등등 너무 힘든 작업인 듯합니다.

하루 쉬는 날 이런 귀찮은 작업을 모두 진행 후 하나은행 앱 지문인식으로 로그인 후 이체를 시도했습니다.

 

그런데....

OTP 인증 번호를 넣으라고 나오네요. ㅠㅠ

왜 그럴까요? 너무 당황하지 마세요. 이제 그 해결 방법을 알려 드립니다.

 

 

하나은행 지문인식으로 이체하기

잘 사용하던 지문인식 이체가 갑자기 안 되나요? 이체할 때마다 OTP 인증번호를 물어보나요?

그 이유와 그 해결 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.

하나은행 상담원과 통화 후 해결한 방법이라 팩트체크는 된 정보입니다.

 

왜 이체가 지문으로 안되나?

이체할 때 지문인식이 안되었던 이유는 핸드폰을 변경했기 때문이었습니다.

하나은행에는 "빠른 이체" 라는 서비스가 있습니다.

그런데 빠른이체 등록 후 핸드폰이 변경되면 다시 등록을 해야만 서비스를 다시 이용할 수 있습니다.

 

하나은행 빠른 이체란?

1회 300만 원 이내 이체 시 계좌 비밀번호 입력만으로 간편하게 이체 할 수 있는 서비스로 계좌비밀번호 대신 지문인식으로 설정하면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하나은행 빠른이체 등록하기

1) 앱 실행 후 우측 하단의 빨래판 모양의 전체 메뉴를 클릭

2) My하나 >> 빠른 이체신청

 

 

 

3) 빠른 이체 서비스에 대한 설명이 읽은 후 서비스 신청에 동의 하기

4) 빠른 이체 서비스를 신청할 출금계좌 선택하기

 

 

 

5) ARS 인증 하기

6) 신청 완료

 

 

 

하나은행 빠른이체 주의사항

- 빠른이체 서비스는 1회 300만 원까지만 가능

- 1인 1대의 핸드폰에만 가능

- 앱 삭제 시 재가입해야 함

- 문의전화: 1599-1111

마무리

문제는 핸드폰을 새롭게 변경 후 하나은행 앱을 새롭게 설치해서 빠른 이체를 재가입해야 하는 상황이었습니다.

재가입 후 이체 테스트를 해보니 지문인식만으로 이체가 잘 되었습니다.

친절한 상담원 때문에 궁금했던 부분이 해결되었습니다. 감사합니다.

 

반응형

댓글 0